① 공부에서 집중력은 오직 공부 그 자체에만 온 정신과 신경을 쓰는 것이다. ② 성적이 상위냐 하위냐를 결정 짓는 것이 집중력이다. ③ 집중력을 키우는 것은 자기 스스로의 적극적인 노력이 좌우함 ④ 집중력을 키우기 위해 자신의 집중력 방해 요건을 정리해서 제거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⑤ 집중을 하지 않고 공부하는 것은 공부가 아니라 시간만 낭비하는 것이다. ⑥ 긴 시간의 공부보다 짧은 시간이라도 집중력을 갖고 공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⑦ 학습 계획 작성 시 내용 중심 계획표를 작성하는 것이 짧은 시간에 집중력을 갖고 공부 하게 되므로 효과적이다.
2. 책상 위를 정리하는 요령
①그 시간에 공부하는데 최소한으로 필요한 것을 책상 위에 둔다. ②책상 위의 정신을 집중하는데 방해되는 모든 것을 치운다. ③공부에 필요한 것을 사용했으면 그때그때 치워가면서 공부한다. ④책상 앞 벽에도 잡다한 것을 붙여 놓아 정신 집중을 방해하지 말아야 한다.
3. 공부와 잠
두뇌 활동을 활발하게 하기 위하여 하루에 6시간 정도의 수면이 필요하다. 피곤하여 졸리면 억지로 참는 것보다는 1시간 이내의 짧은 시간동안 잠을 자고 나서 정신을 집중하여 공부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성적은 몇 시간 동안 공부 했느냐의 양 보다 무엇을 얼마나 했느냐 의 질이 좌우 한다. 따라서 졸리운 상태에서의 공부는 효과가 없다. 자신의 신체리듬에 맞게 정신을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라.
따라 해보세요!!
공부를 시작하기 전 1∼2분 동안 시각·청각을 이용해 정신 집중 훈련을 해본다. 머릿속으로 간단한 도형을 그려 본다. (·우선 공중에 하나의 점을 그린다. → 점 이외의 것은 일체 생각하지 않는다. → 이 점을 연장시켜 일직선으로 만들어 본다. → 익숙해지면 별과 같은 간단한 도형을 그려본다. → 매일 조금씩 복잡한 도형을 만들어 본다.)
눈을 감고 길게 심호흡을 한다. (자율 신경의 활동으로 인해 정신이 맑아져 집중력이 강화된다.) 먼저 높고 큰 목표를 세운 후 세부적인 목표를 세워 하나씩 달성해 가면서 성취감을 맛본다. (ex: 10분 동안 몇 문제를 풀 수 있을까 마음속으로 생각하며 게임 하는 기분으로 공부한다). 좋아하는 과목부터 시작해 공부에 흥미를 키우고 그 후 싫어하는 과목에 도전해 본다. 정서적으로 안정을 취한다. 적절한 휴식을 통해 기분을 새로이 한다. 평소 클래식이나 조용한 음악을 들으며 마음을 차분히 가라앉힌다. 친구의 방법을 물어 보는 등 서로 대화를 통해 마음을 가볍게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