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인을 키운 부모들의 습관이 궁금합니다
위인을 만든 부모들의 공통점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합니다. 단지, 알고 있는것에 대해 노력하고 그것을 지켰다는 것이지요. 부모들 먼저 깔끔한 외모와 복장에 신경써야합니다. - 외출할 일이 없다고 대충 입은 옷에 헝크러진 머리를 한 부모를 아이들이 보고 자라면어떨까요? 자기관리가 철저한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가 자기관리가 잘하는 아이로 자라는 것은 당연하답니다. 부모들이 먼저 긍정적으로 말을 해야 합니다. - 아이들의 언어습관은 부모님을 통해서 배우게 된답니다. 부모가 '~하지마라', '~하면 혼난다' 같은 부정적인 말을 자주 한다면 아이들도 따라배우게 되며, 부정적인 말을 하는 사람을 부정적으로 보이고, 생각도 부정적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죠. 아이들의 호칭에도 신경써야 합니다. - 아이에게 '머리가 나쁘다'의 돌머리 라고 부르면 돌머리로 자라고, '예쁘다'의 예쁜이로 부르면 정말 예쁘게 자라게 됩니다. 아이들을 부르는 말은 아이들의 잠재의식속에 기억되기 때문이죠. 아이들이 스트레스가 쌓이지 않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 아이들이 받는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는 아이의 눈 높이에 맞춰서 농담도 하고, 함께 운동도 하며 쌓인 스트레스를 풀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들과 함께 노는것도 중요합니다. - 아이들이 즐기는 게임, 놀이, 취미도 같이 해보면 의외로 재미있다는걸 알게 된답니다. 부모가 아이들과 같이 놀아주게 되면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공감대와 신뢰감을 가지게 된답니다. 여러가지 음식 맛을 보여줘야 합니다. - 아이들의 성장기에는 모든 감각이 자라는 시기입니다. 이때 여러가지 음식맛을 느끼게 해주면 아이는 미각은 물론이고 오감이 두드러지게 발달한다고 합니다. 아이가 이룬 성과에 대해 칭찬을 아껴서는 안됩니다. - 게임 혹은 취미에서 기록을 낸 것, 전보다 어떤것을 더 잘할때 반드시 칭찬해줘야 합니다. 아무리 작은 성과라도 칭찬을 해주게 되면 아이는 성취감을 가지고 어떤일이든 열심히 하게 된답니다. 단점을 매꾸기 보다는 장점을 키워주는것이 중요합니다. - 사람에게 시간은 정해져 있답니다. 물론 단점을 보완하는 것도 분명 중요하겠지만, 장점을 키울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답니다. 단점이 보이면 혼내더라도, 장점이 보이면 반드시 관심을 주고 칭찬해줘야 아이들은 그 장점에 대해 더 노력을 기울이게 되는 것이지요. 아이의 친구들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합니다. - 아이들의 친구들에 대해서 어떤아이인지 알고 있어야 현재 내아이의 상태도 알수 있게 됩니다. 아이들의 친구를 알고 있으라는 말은 단순이 못댄아이, 착한아이가 아닌, 어떤아이인지 알고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아이들의 성적이 오르지 않는다고 혼내기 보다는 원인을 파악해야 합니다. - 단순히 '공부해라'라고 해서 성적이 올라가진 않습니다. 어떤 문제점으로 성적이 오르지 않는지 원인을 파악해서 바로 잡아줘야 하는 것이지요. 부모는 아이의 능력을 믿어야 합니다. - 부모가 아이를 믿는다는 신뢰감을 표현하는 것은 정말로 중요합니다. 아이는 부모의 신뢰감을 받을 때 가장 큰 자신감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대처하게 된답니다. 아이들에게 원하는 모습을 스스로 보여줘야 합니다. - 책을 읽지 않는 부모가 아이들에게 책을 읽으라고 하면 어떨까요? 아이들과 한 작은 약속을 잊거나 어긴 부모가 '약속을 잘지켜라'라고 하면 어떨까요? 아이들에게 원하는 모습이 있다면 스스로가 모범을 보여야 합니다. 식사할 때는 기분좋은 이야기만 해야합니다. - 기분좋아야 할 식사 시간에 설교, 꾸중을 하게 되면 어떨까요? 아무리 혼낼일이 있어도 식사시간에 혼내서는 절대로 안된답니다. 아이들과 어떤 계획이든 자주 세워야 합니다. - 집안에 어떤일이든지 아이들과 계획을 세워서 일을 진행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아이의 의견에 대해 서로 상의하고 이를 실행 한다면 아이들의 문제해결 능력은 단연 뛰어나게 됩니다. 출처: 웹상의 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