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억 2천만년전 초소형 ‘익룡’ 화석 발견
![]() |
[서울신문 나우뉴스]
최근 중국 동북부의 랴오닝(遼寧)성에서 일명 ‘날아다니는 파충류’라 일컬어지는 새로운 종(種)의 파충류 화석이 발견돼 학계의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국 뉴욕타임스 온라인판은 “약 1억 2천만년전에 생존한 것으로 추정되는 ‘익룡’의 화석이 발견돼 ‘네미콜로프테루스 크리프티쿠스’(Nemicolopterus crypticus)라는 학명이 새로 지어졌다.”고 보도했다.
이 화석은 기존에 발견된 익룡들 중에서 가장 작은 것으로 특히 완전히 성숙하기 전 새끼 익룡의 모습이라 그 의미가 크다.
발견된 익룡은 선사시대 중국 삼림지대의 은행나무에 서식하면서 곤충을 주식으로 삼았을 것으로 보이며 날개 폭이 30cm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 무게는 30~50g으로 이빨이 없다는 점에서 과거에 발견된 익룡과는 비슷하나 나무줄기를 잘 움켜쥘 수 있게 구부러진 발톱이 달려있는 점은 해부학적인 특징으로 꼽히고 있다.
중국과학아카데미(Chinese Academy of Sciences)의 샤오린 왕(Xiaolin Wang) 박사는 “참새나 제비처럼 작은 이 익룡은 백악기 시대에 살았던 동물 중 가장 작은 동물일 것”이라고 발견 의의를 설명했다.
![]() |
포츠머스 대학(University of Portsmouth)의 데이브 마틸( Dave Martill )박사도 “익룡의 화석은 굉장히 희귀한 것으로 특히 다 자라지 않은 익룡의 화석은 극히 드물다.”며 “새끼 익룡의 모습은 다 자란 익룡의 모습과는 꽤 다를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익룡은 공룡이 아닌 파충류로 쥐라기(약 1억 8000만 년~1억 3500만 년 전)초에 출현하여 백악기(약 1억 3500만 년~ 6500만 년 전)까지 존속했다.
사진=뉴욕타임스 온라인판(사진 위는 이번에 발견된 익룡 화석·아래는 1억 2천만년전 당시 생존했던 익룡을 그린 모습)
서울신문 나우뉴스 주미옥 기자
'공룡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억년 전 한반도는 ''벨로시랩터''의 사냥 무대였다 (0) | 2008.03.05 |
---|---|
국내 최초 두 발가락 육식공룡발자국 화석 발견 (0) | 2008.03.05 |
작은 곤충들이 거대한 공룡 멸종시켜 (0) | 2008.01.07 |
고성공룡박물관 (0) | 2007.06.21 |
고성 상족암과 유람선 여행 (0) | 2007.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