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의 작은 변화가 꽃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빛의 조건에 따라 색의 톤과 색 온도의 변화로 꽃의 색에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날씨라는 것이 언제나 작가의 의도대로 따라주지 않으므로 작가는 자신의 의도대로 빛을 자유자재로 제어할 줄 알아야 한다.


햇볕이 매우 강할 때에는 콘트라스트가 강해져서 빨강색 계통의 꽃, 즉 장미나 튤립 등은 주위의 녹색 잎과 어울림이 떨어지게 되고 결국 이상적인 색 재현이 매우 어렵게 된다. 특히 백색 계통의 꽃은 노출 과다 현상이 생겨 그 형태가 명확한 사진을 얻기에 어렵게 되므로 결국 노출 보정을 해야만 한다. 이렇게 할 경우 꽃에 비해 배경이 어둡게 죽어버려 훌륭한 결과물을 얻기 힘들다.



아침과 저녁에는 색 온도가 낮아 황색과 붉은 색이 많이 생겨 정확한 색 표현이 힘들기 때문에 정물 사진에는 어울리지 않다. 그렇지만 이 시각에는 주제를 스치는 빛의 각도가 낮아 꽃이나 나뭇잎이 역광을 받게 된다. 이를 잘 활용하면 의외로 묘한 분위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직사광선이 구름을 통과하거나 물체에 부딪쳐 반사된 빛을 산광(diffuse radiation)이라 한다. 이런 빛의 특성은 빛의 성분이 흩어지는 현상이 생기더라도 콘트라스트가 약해 빛이 피사체 주위를 감싸고 색채가 짙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디테일하고 부드러운 사진을 원할 때는 꼭 흐린 날을 택하는 것이 좋다.


안개는 배경을 흐르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클로즈업 촬영 시에는 꽃에 맺힌 이슬을 꽃과 조화롭게 촬영하면 부드러운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다. 이때는 역광 촬영을 하면 물방울이 반짝반짝 빛나는 예쁜 사진을 찍을 수 있고, 노출을 약간 과다로 주면 맑고 청초한 느낌의 사진을 얻을 수 있다.


비가 약간 오는 날 꽃은 청초한 미가 우러난다. 약한 안개 효과도 얻을 수 있고 그 자체가 멋진 연출이 되지만 빛이 약할 수 있으므로 스트로보를 사용할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스트로보를 카메라에 붙이지 말고 꽃과 거리를 두고 촬영하는 것이 좋다. 피사체와 스트로보의 거리가 가깝게 되면 공기중의 수증기에 스트로보의 빛이 부딪쳐 난반사를 일으키게 되므로 결국 부옇게 흐린 결과물이 되어버린다. 가능하면 스트로보의 사용을 자제하고 현재 상황에서의 분위기를 잘 살려 사진으로 담아보려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좋겠다.


사진에서 구도라 함은 화면 구성에서 주제를 살리기 위한 여러 가지 요소를 효과적으로 꾸미는 것을 말한다. 화면에서 가운데 넣을 것은 넣고, 필요치 않은 것은 과감히 없애야 한다. 이것은 주제에 초점을 정확하게 맞춘다기 보다는 강조할 부분과 강조가 필요치 않은 부분을 구분해야 한다는 뜻이다. 주제를 강조한다는 의미는 포커싱의 범위를 넘어 크기, 위치, 콘트라스트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여러 상황에서 주제를 강조하는 나만의 방법들을 꾸준히 찾아내야 한다.


꽃의 어느 부분이 감동 시켰는지, 즉 꽃의 어느 부분이 가장 아름다운지를 판단하고 그 부분을 어떤 각도에서 촬영할 것인지 파인더를 보면서 작가가 표현하려는 의도대로 촬영할 위치를 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고민 없이 대충 아무 장소에서 마구잡이로 찍다 보면 단지 기록을 위한 사진이 되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일반인들이 촬영자세를 보면 대체로 서서 보이는 것을 그대로 촬영하는 것을 보게 된다. 그러나 이 자세에서 조금만 앵글을 바꾸기만 해도 새롭고 재미있는 세상을 보게 된다. 낮은 위치에서 피사체를 올려다 보고 촬영하는 것을 로우 앵글이라 하는데 로우 앵글로 촬영된 사진은 한 눈에 보아도 평범하지 않다. 꽃을 로우 앵글로 촬영했을 경우 과장된 표현이 될 수도 있고, 작은 꽃이 박력 있는 꽃이 될 수도 있다. 자세가 낮아서 파인더를 보기 어려워지면 앵글파인더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으니 활용해보기 바란다.

반면 하이 앵글은 피사체보다 높은 위치에서 촬영하는 것인데 이런 경우 꽃의 주위 배경이 포함되는 경우가 되기 쉬우므로 꽃이 화면 가득한 경우나 꽃을 크게 확대해서 찍을 경우 하이 앵글로 촬영하는 것이 좋다.

화면 구성은 단순하게 꽃을 촬영할 때 특히 화단의 경우 여러 꽃들이 있게 되는데, 주제가 되는 꽃과 배경 꽃들이 모두 화면에 들어오게 되면 자칫 주제 없이 지저분하고 식상한 이미지가 되기 쉽다.


꽃 사진을 실패하는 요인으로 조리개의 이해 부족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간혹 조리개 최대 개방 상태에서 충분한 광량을 확보한 후 최고 셔터스피드로 촬영을 했건만 사진이 뭔가 이상하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다. 무조건 조리개를 최대 개방하고 셔터스피드가 올라간다고 해서 좋은 사진을 찍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기억해두자. 모든 사진이 아웃포커싱 상황에서 매력적으로 다가오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조리개를 개방하면 배경이 흐려지면서 주제를 부각시킬 수 있다. 매크로 촬영 시에 조리개를 너무 개방하게 되면 꽃의 형태가 제대로 표현되지 않아 오히려 아름답지 못한 결과물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도록 하자.

모든 사진에서 피사체들이 공식처럼 황금 비율상에 들어오지는 않는다. 화면의 중앙에 있을 수도, 위에 있을 수도 아래에 있을 수도, 왼쪽 혹은 오른쪽으로 치우칠 수도…. 너무나도 많은 경우의 수에서 포커싱을 카메라의 AF 기능에만 의존하지 말아야 함을 잊어선 안된다.

최근의 카메라들은 화면 중앙을 기준으로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게 되어있다. 기종에 따라 측거 포인트가 1개에서 40개를 넘는 카메라도 있어 한 층 편리해졌지만 포커싱 위치가 단 1mm의 차이로도 아주 다른 사진을 얻을 수 있으므로 가급적 포커싱 및 노출 설정은 수동으로 해주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프리뷰 버튼이란 일안리플렉스 카메라에서 촬영될 조리개 값으로 화면을 미리 볼 수 있는 장치이다. 이 장치를 이용화면 촬영될 이미지의 심도를 미리 볼 수 있어 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피사계 심도란 어느 한 지점에 초점을 맞추었을 때 그 지점 앞과 뒤 부분에 초점이 맞는 폭이 생기는데 이 부분을 말한다.

내 렌즈가 표현할 수 있는 피사계 심도를 잘 파악하고 이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다.

꽃 사진을 마스터하려면 광선을 잘 컨트롤해야 한다. 빛은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출처 : 기타
Posted by 부비디바비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