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제 경쟁률은 2:1 이다
숫자적인 경쟁률에 너무 민감할 필요가 전혀 없다.
보편적으로 어떤 자격 시험이든 실제 경쟁률은 2:1이다.

(예)
시험 접수 인원이 100명이라 가정하면 아무 준비도 없이 응시해보려는 인원(시험불참 인원포함)이 54명, 시험 초보자들이 40명 정도이고 실제 합격이 가능할 정도로 열심히 공부하는 인원은 6명 정도라 보면 된다.
따라서 전체 합격비율을 3% 정도라 예상하더라도 경쟁해야 할 인원은 6명 중에 3명이 합격하는 꼴이 되므로
실제 경쟁률은 2:1 이 된다.
조금 과장된 설명일 수 있지만 이것이 자격시험의 실태이다.
* 나이 들었다고 고민할 필요 없다
일단 공부를 시작하면 젊어진다. 지금까지 몰랐던 점, 몰랐던 세계에 도전하는 그 자체가 두뇌를 단숨에 활성화 시켜 몸 안쪽에서 크게 자극을 받기 때문이다.
-젊은 사람들에 비해 습득된 지식이나 기술을 몸에 익혀 쉽게 일상생활에 직접 적용하게 되므로 공부에 대한 재미를 크게 느낄 수 있으므로 나이가 들 수록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사회 경험을 충분히 쌓은 상태에서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하게 되므로 다른 사람의 처지나 아픔을 잘 이해할 수 있어 실무가로 성공할 확률이 더욱 높다
* 하루에 80% 능력만 발휘하자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매일 매일 자신의 최대능력의 80%만 발휘하라 공부를 처음 시작할 때 의욕만 너무 넘쳐 자신의 능력이상을 공부하려고 하지만 실제 한, 두달이 지나면 문제점이 계속해서 드러나게 된다.
하루에 20%씩 계속해서 소화해내지 못하는 공부의 분량이 시간이 지나면 지날 수록 계속 쌓이게 되고 결국엔 좌절하고 포기하게 된다.
따라서 공부를 즐겁게 하기 위해서는 계속해서 공부해 나갈 수 있는 자신의 분량으로 매일 80%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공부 방법이다.
* 직장인이 더 유리하다??!!
자격시험을 볼 때 비교적 자유롭게 공부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많은 학생들이나 전문 수험생들 보다 회사일이나 집안일을 하는 수험생이 꼭 불리하다고 볼 수 없다.
자유시간이 많다는 것은 그 만큼 낭비하는 시간이 더 많고 집중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짧은 시간이지만 얼마만큼 집중적으로 공부하느냐가 더 중요하며 바쁜 시간을 쪼개어 공부하는 사람은 자연히 집중력이 배가 되므로 학생들이나 전문 수험생과도 충분히 동등하게 경쟁할 수 있기 때문이다.
Posted by 부비디바비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