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계 밖 행성에서 메탄 성분이 관측됐다. 과학자들이 그동안 외계생명체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지구와 비슷한 조건에 있는 수많은 행성을 찾아 관측을 벌여왔지만, 유기체를 구성하는 성분이 지구 외의
천체에서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 우주항공국(NASA) 산하 제트추진연구소(JPL)의 마크 스웨인 박사와 영국 런던칼리지 조반나 티네티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19일 과학전문지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지구에서 63광년 떨어진 여우자리
HD 189733b 행성에서 메탄 성분을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과학자들은 NASA의 허블천체망원경과 니크모스(Nicmos)라는 관측 장치를 이용, 어미별(항성)에 살짝 가려진
이 별의 모습을 촬영한 뒤 스펙트럼 분석으로 대기성분을 측정해 메탄을 확인했다.
메탄처럼 탄소가 포함돼 있는 유기 성분은 적절한 조건만 갖춰지면 물과 결합해 아미노산을 만들어낼 수 있다.
아미노산은 단백질을 형성해 생명체를 탄생시킬 수 있는데, 과학자들은 지구의 생명체도 이런 과정을
거쳐서 생겨난 것으로 보고 있다.
과학자들은 항성(태양)과 적절한 거리에 있어 너무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이른바 ‘골디락스 존(Goldilocks zone)’에 위치한 천체들 중에 생명체 탄생의 기본 조건을
갖춘 곳들이 있을 것으로 보고 집중 관측을 벌여왔다.
이번에 유기성분이 확인된 HD 189733b의 경우 대기 중에 수증기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목성과 비슷한 크기인 이 행성은 태양과 수성 사이 거리 정도로 항성에 가깝게 붙어 있기 때문에
대기 온도가 900℃ 정도로 매우 뜨겁다. 골디락스 존과는 거리가 먼 이 행성에 생명체가 존재하고
있을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과학자들은 유기체 발견의 ‘첫발’을 내디뎠다는 데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머나먼 태양계 바깥 행성의 대기성분에서 메탄을 확인하는 데에 성공함으로써 더 나은 조건을
가진 행성들을 확인할 수 있는 길이 열렸기 때문.
미국 매서추세츠공과대학(MIT)의 천체물리학자 새러 시거 교수는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허블망원경으로 이런 성과를 거둘 줄은 몰랐다”고 치하했고, 하버드 스미소니언 센터의 데이비드 샤보노 박사도
“외계 생명체 연구의 새로운 길을 연 중요한 성과”라고 높이 평가했다.
'우주과학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푸른하늘] 바다한가운데서 위성을 쏜다? (0) | 2008.03.24 |
---|---|
지구온난화로 새로운 지질시대 도래하나 (1) | 2008.03.24 |
지구에서 63광년 떨어진 행성…수증기 발견 (1) | 2008.03.20 |
행성 탄생의 비밀 풀 수증기 발견 (0) | 2008.03.19 |
[푸른하늘] 대기권과 우주 (1) | 2008.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