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29일부터 임무수행이 정지된 아리랑 1호가 2월20일부로 임무가 공식 종료됐다.


1999년 12월 발사돼 임무설계 수명 3년을 훨씬 넘긴 8년 간 지구를 4만3000여회 돌며 한반도 및 전 세계의 위성영상 44만장을 촬영한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 1호'의 임무가 공식 종료됐다.

과학기술부는 지난해 12월29일부터 임무수행이 정지된 아리랑 1호에 대해 2월20일부로 임무를 공식 종료했다고 21일 밝혔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백홍렬)은 아리랑 1호의 통신이 두절된 지난해 12월30일 이후 통신 재개를 위해 올 2월20일까지 총 370여회의 비상 위성관제를 시도했으나 통신이 재개되지 못했다.

이에 따라 과기부는 위성의 전력공급과 잔여 연료량을 등을 감안해 위성의 복구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항우연의 임무종료 요청을 승인했다.

과기부는 항우연의 임무종료 보고서와 별도로 관련 전문가단(단장 한국과학재단 장영근 우주단장)을 구성해 다목적실용위성 1호 임무정지 관련 종합점검을 실시했다.

그 결과 항우연 지상국에서 위성 궤도 정보 입력을 잘못해 위성이 안전모드로 전환됐고, 이후 위성의 복구과정에서 항우연 관제국과 세종추적소를 경유한 위성의 통신링크 불안정으로 위성을 복구하는데 실패했다고 결론 내렸다.

전문가단은 위성의 자세 제어 컴퓨터와 전력 및 열제어 컴퓨터가 복구되지 못한 상태가 지속되면서 배터리가 완전 방전됐고, 노후화된 지상 시스템, 지상국 관제 관리 및 운영체계 미비 등이 위성정지의 복합적 원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최종 분석했다.

이에 따라 과기부는 아리랑 2호 등 향후 위성운영 과정에서 비슷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위성의 비정상 상태 발생시 운영지침을 보완하고, 위성 관제 인력 확보 등의 계획을 수립·시행하기로 했다.

아울러 위성과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해외 지상국 추가 확보 대책를 수립하는 한편 위성의 임무종료에 대한 기준과 절차를 마련하기로 했다.

현재 아리랑 1호는 고도 672km, 경사각 98도의 원궤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위성관제를 종료할 경우 자연적인 고도감소로 46년 후 대기권에 진입하면서 불타 없어질 것이라고 과기부는 밝혔다.

현재까지 전 세계적으로 6500여개의 위성이 발사됐으며 이 중 3300여개는 대기권에 진입ㆍ소멸됐고 3200여개는 아직까지 우주에 떠다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osted by 부비디바비디
,